티스토리 뷰

돌하루방이 어디서 왔느냐는 물음에는 남태평양(이스터섬 석상 대표)에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되는 남방기원설, 몽골기원설, 제주생활설 등이 있는데, 몽골기원설 등은 몽골의 지배를 받을 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몽골인들은 돌하르방이 훈볼로라고 불리는 돌 모양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제주에는 제주 21개, 정의·대정 12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개 등 총 47개의 돌하르방이 남아 있다. 원래는 48대였지만, 첫 번째 비행기는 분실되었다.


제주시에는 제주대학교 4곳, 제주KBS방송국 2곳, 제주시청 2곳, 삼성혈 4곳, 관덕정 4곳,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2곳, 목석원 1곳이 있는데 모양이 약간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주시 돌하루방은 권위를 앞세우고 다른 지역보다 크고 엄숙하다. 제주도의 기념품으로 제작된 이 석상은 제주시의 석상을 본떠 만든 것이다.


제주대학교 박물관 입구의 동쪽과 관덕정 뒷마당 남쪽에 서서 여느 석상과는 달리 가슴은 가슴처럼 불룩하다. 그러나 이 불룩은 용맹한 사람의 발달된 가슴을 나타내기 때문에 '돌할망'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또한 제주대학교 박물관 입구 동쪽에 있는 것은 모자 위에 테두리가 선명하게 조각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댓글